姓氏의 故鄕

新昌 盧氏(신창노씨) (431).

아까돈보 2010. 7. 12. 10:53

 

 


 
 新昌盧氏(신창노씨)
 

▣ 由來

 

 

始祖 : 盧智儒(노지유)


交河盧氏(교하노씨)의 1世祖(세조) 盧康弼(노강필)의 曾孫子(증손자) 盧智

儒(노지유,平章事 盧英淳(노영순)의 둘째아들)가 高麗(고려)恭愍王(공민왕)때 檢校將軍(검교장군)으로 나라에 武功(무공)을 세워 版圖判書(판도판서)에 오르고 新昌君(신창군)에 封(봉)해졌으므로,後孫(후손)들이 交河盧氏(교하노씨)에서 分貫(분관)하여 新昌(신창)을 本貫(본관)으로 삼아 世系(세계)를 이어왔다.

▣ 人物

 

 

盧智儒(노지유)의 아들 盧珝(노후)가 高麗時代(고려시대)에 兵部尙書(병부상서)를 지냈으며, 盧珝(노후)의 孫子(손자) 盧純(노순)은 司馬試(사마시)에 合格(합격)했으나 벼슬의 뜻을 버리고 鄕里(향리)로 돌아가 學文(학문)에만 盡力(진력)하여 著書(저서)로 一生(일생)을 마쳤다.
朝鮮(조선) 宣祖(선조)때 盧錞(노순)은 性理學者(성리학자) 南冥(남명) 曺植(조식)에게서 글을 배우고 壬辰倭亂(임진왜란)이 일어나자 義兵將(의병장)郭再祐(곽재우)와 함께 義兵(의병)을 일으켜 軍糧補給(군량보급)을 擔當(담당)

했으며, 이듬해 寧邊府使(영변부사)로 나가 善政(선정)을 베풀었고, 盧鋌(노정)은 司宰監正(사재감정)을 歷任(역임)하여 龍驤衛(용양위) 副護軍(부호군)을 지낸 盧天翼(노천익), 參議(참의) 盧喜昌(노희창)과 함께 家統(가통)을 이었다.
 

▣ 本貫沿革

 

本貫所在地 : 忠淸南道 牙山


新昌(신창)은 忠淸南道(충청남도) 牙山市(아산시)에 屬(속)해있는 地名(지명)으로 本來(본래)百濟의(백제) 屈直縣(굴직현)이었다.757年(新羅景德王16)에 祁梁縣(기량현)으로 고쳐 溫井郡(온정군):溫陽)에 屬하게 하였다. 940年(高麗太祖23)에는 新昌(신창) 新昌縣(신창현)으로改稱(개칭)하여,995年(成宗14)에 刺史(자사)를 두었다가,1005年(穆宗8)에 廢止(폐지)하였다.1018年(년)(憲宗9)에 天安府(천안부)에 移屬(이속)되어 領縣(영현)으로 삼았다. 그後(후) 朝鮮(조선)에 와서는 太祖(태조) 萬戶(만호)를 없애고,1414年(太宗14)에 溫水縣(온수현)과 合(합)하여 溫昌(온창)이라 하였다가 新昌縣(신창현)이 되었다. 1895年(高宗32) 地方制度(지방제도)改正(개정)으로 郡(군)으로 昇格(승격)되어 洪州府(홍주부)牙山郡(아산군),1896年에 忠淸南道(충청남도) 牙山郡(아산군)이 되었다.

1914年 郡面 廢合(군면폐합)으로 牙山市(아산시)鶴城面(학성면)으로 改編(개편)되었으며,1917年 只今(지금)의 牙山市(아산시) 新昌面(신창면)이 되었다.

1995年 忠淸南道(충청남도) 牙山市(아산시) 新昌面(신창면)이 되었다.

 

▣ 人口數

 

統計廳(통계청)의 人口調査(인구조사)에 依(의)하면 新昌盧氏(신창노씨)는
1985年에는 摠 474家口 1,979名,
2000年에는 摠 528家口 1,708名이 있는 것으로 調査(조사)되었다.

 

'姓氏의 故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靈光 盧氏(영광노씨) (433).  (0) 2010.07.14
延日 盧氏(연일 노씨) (432).  (0) 2010.07.14
萬頃 盧氏(만경노씨) (430).  (0) 2010.07.12
童城 盧氏(동성노씨) (429).  (0) 2010.07.11
南原 盧氏(남원노씨) (428).  (0) 201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