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祖(시조)의 아들 宋麒孫(송기손)이 成宗(성종)때 通政大夫(통정대부)로 司憲府監察(사헌부감찰)을 거쳐 南平(남평)과 求禮(구례)等地(등지)의 守令(수령)을 歷任(역임)한 後(후)內職(내직)으로 들어와 殿中侍御史(전중시어사)를 지냈고, 그의 아들 代(대)에서 雅樂堂公派(아락당공파)·優遊堂公派(우유당공파)·淸心軒公派)(청심헌공파)等(등) 크게 세 갈래로 갈라져서 家勢(가세)를 일으켰다. 家門(가문)을 빛낸 두드러진 人脈(인맥)을 살펴보면 雅樂堂公派(아락당공파)의 宋駿(송준)이 中宗(중종)때 生員試(생원시)에 合格(합격)하여 孝廉(효렴)으로 參奉(참봉)이 되고 뒤에 別坐(별좌)와 主簿(주부)·司憲府監察(
사헌부감찰)을 거쳐 丹城縣監(단성현감)을지냈으며,그의 아우 宋肅(송숙)(우유당공파)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後進(후진) 養成(양성)에 盡力(진력)하며
學行(학행)으로 名望(명망)이 높았다. 淸心軒公派(청심헌공파)의 宋駒(송구)는 天品(천품)이 뛰어나고 學文(학문)이 깊었으며 孝誠(효성)이 至極(지극)하여 父母(부모)를 供養(공양)함에 熱誠(열성)을 다해 周圍(주위)의 稱頌(칭송)을 받았다. 成宗(성종) 때 生員試(생원시)에 合格(합격)한 그는 學行(학행)으로 參奉(참봉)에 薦擧(천거)되었고 司憲府監察(사헌부감찰)을 거쳐 外職(외직
)으로 나가 臨陂(임피), 和順(화순),求禮(구례),金堤(김제),同復(동복)等(등)12個(개) 고을의 원을 歷任(역임)하며 善政(선정)을 베풀어 百姓(백성)들이 그 報答(보답)으로 대나무 세그루를 뜰에 심어 주었다. 그後(후)에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낳게되자 이름에 竹(죽)字(자)를 넣어 아들 이름을 宋庭筍(송정순),全州 郡守를歷任),宋庭篁(송정황)이라 지었다고 하며 그들이 모두 顯達(현달)하여 家門(가문)을 크게 빛냈다. 明宗(명종)때 文科(문과)에 及第(급제)한 宋庭筍(송정순)은 典籍(전적)과 司憲府監察(사헌부감찰)을 거쳐 刑曹(형조)와 禮曹(예조)의 佐郞(좌랑)을 歷任(역임)하고 春秋館記注官(춘추관기주관)이 되었으며,그의 아우 宋庭篁(송정황)은 弘文館正字(훙문관정자)를 거쳐 全羅道都事(전라도도사)를 지냈다.한편 土亭(토정) 李之函(이지함)의 門下(문하)에서 修學(수학)했던 宋齊民(송제민,庭篁의아들)은 豪放(호방)한 氣質(기질)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號(호)를 海狂(해광)이라 하고 넓은 바다를 從橫(종횡)으로 누비며 定處(정처)없이 배를 타고 風波(풍파)에 快感(쾌감)을 느끼곤 하였다.壬辰倭亂(임진왜란)이 일어나자 梁山岫(양산수) 等(등)과 더불어 倡義(창의)하여 金千鎰(김천일)과 合勢(합세)하여 水原城(수원성)을 防禦(방어)했고,趙憲(조헌)을 左義兵大將(좌의병대장)을 推戴(추대)하여 黃磵(황간)과 永同(영동)의 倭敵(왜적)을 막게 했다. 倭亂(왜란)이 끝나자 亂中(란중)의 모든 일과 得失(득실)을 論述(논술)한 「臥薪記事(와신기사)」를 著述(저술)했고 晩年(만년)에 海山(해산)에 隱居(은거)하여 農事(농사)를 지으며 後進敎育(후진교육)에 盡力(진력)했다.그 外(외) 宋在民(송재민)의 맏아들 宋拖(송타)가 뛰어난 學文(학문)으로 宣祖(선조)때 文名(문명)을 떨쳤고, 文集(문집)으로「華巖收錄(화암수록)」을 著述(저술), 時調(시조)作品(작품)으로는 <華巖九曲(화암구곡)>과 <梅濃曲(매농곡)>을 남겼으며,그의 아우 宋繼殷(송계은)은 濟用監奉事(제용감봉사)를 歷任(역임)하여 同知義禁府使(동지의금부사)를 지낸 宋燧(송수,宋拖의 아들), 淮陽都護府使(회양도호부사) 宋斗文(송두문,수익의 아들), 全羅都事(전라도사) 宋益中(송익중), 僉知中樞府使(첨지중추부사) 宋寅夏(송인하), 郡守(군수) 宋東植(송동식)等(등)과 함께 洪州宋氏(홍주송씨)를 더욱 빛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