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城李氏(진성이씨)의 기틀은 高麗末(고려말) 李子脩(이자수)에 依(의)해 싹이 트고 朝鮮時代(조선시대)退溪(퇴계) 李滉(이황)에 이르러서 成長(성장)하기 始作(시작)한다. 學文(학문)의 家門(가문)답게 文集等(문집등) 著述(저술)을 남긴 學者(학자)만도朝鮮時代(조선시대)에 50餘名(여명)을 헤아리며 58名(명)의 文科(문과)及第者(급제자)를 輩出(배출)한 韓國(한국)의 知性(지성)을 代表(대표)하는 名門(명문)이다.
退溪(퇴계)李滉(이황)은 始祖(시조)李碩(이석)의 6代孫(대손)으로 1501年 安東(안동)陶山面(도산면)에서 進士(진사)李埴(이식)의 막내로 태어나서 1571年 文廟(문묘)에 配享(배향)될때까지 그의 70年 一生(일생)은 誠(성)과 敬(경)으로 聖人(성인)을 追求(추구)해간 構圖(구도)와 精進(정진)의 나날이었다.34살에 文科(문과) 及第(급제)했고 그 學問(학문)과 人格(인격)이 나라안을 感化(감화)시켜 大提學(대제학), 禮曺判書(예조판서), 右贊成(우찬성), 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 等(등) 높은 벼슬도 했으나, 그보다는 學文(학문)과 自己修養(자기수양)에 뜻이 있어 벼슬을 辭讓(사양)하고 故鄕(고향) 安東(안동) 陶山面(도산면)에 돌아가 硏究(연구)와 著述(저술), 後進(후진) 指導(지도)에 몸바쳤다. 退溪(퇴계)는 當時(당시)의 學者(학자)들이 모두 그러했듯이 朱子學(주자학)(
性理學)을 쫓았다.그러나 硏究(연구)와 實踐(실천)을 通(통)해 朱子(주자)의性理學(성리학)을 再整理(재정리)하고 發展(발전)시켜 退溪學(퇴계학)으로 鼎立(정립)했다. 退溪(퇴계)의 兄(형)인 李海(이해)는 仁宗(인종)때 禮曺參判(예조참판),大司憲(대사헌)에 올랐고 退溪(퇴계)의 孫子(손자)李安道(이안도)가 退溪(퇴계)의 性理學(성리학)을 이어받아 많은 第子(제자)를 길렀다.
"내고장 七月(칠월)은 靑葡萄(청포도)가 익어가는 季節(계절)…"로 始作(시작)하는 詩(시)를 지은 詩人(시인)李陸史(이육사)도 이 家門出身(가문출신)으로 日帝(일제)의 監獄(감옥)에서 마친 짧은 삶과 함께 愛國的(애국적)인 抵抗詩人(저항시인)으로 오늘날 再照明(재조명)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