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祖 : 文多省(문다성)
始祖(시조) 文多省(문다성)은 新羅(신라) 慈悲王(자비왕)(20代)때의 사람으로 文多省(문다성)의 出生(출생)에 對(대)한 傳說(전설)이 傳(전)해 온다. 南平縣(남평현)(全南 羅州郡 南平面)에 長子池(장자지)라는 연못가에 큰 바위가 있다
.472年(新羅 慈悲王15年) 2月에 君主(군주)가 바위 아래에서 놀고 있는데 그 바위 위에서 五色氣運(오색기운)이 감돌면서 갓난 아이의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異常(이상)하게 여긴 君主(군주)가 사다리를 가져오게 하여 올라가 보니 돌로된 函(함)안에 皮膚(피부)가 白雪(백설)같이 맑고 容貌(용모)가 아름다운 갓난 아이가 있었다.그래서 君主(군주)가 데려다 키웠는데 5살에 글을 저절로 깨우치고 武略(무략)이 뛰어나며 事物(사물)의 理致(이치)를 스스로 깨닫는 等(
등)聰氣(총기)가 있어 姓(성)을 文(문)이라고하고 이름을 多省(다성)이라고 했다(돌로된 函(함)에'文(문)'字(자)가 새겨져있어 姓(성)을 文(문)이라고 했다고도 한다).그後(후) 500年(智證王1年)에 中侍阿郞(중시아랑)이 되고, 540年(眞興王1年)에 大國師(대국사), 577年 (眞智王2年)에 大阿郞(대아랑)大國師(대국사)가 되었다.只今(지금)도 羅州郡(나주군)南平面(남평면)에 長子池(장자지)라는 연못과 6미터쯤되는 바위가 있고 바위위에'文巖(문암),이라는 碑石(비석)을 세워 놓아 文氏(문씨)始祖(시조)의 誕生地(탄생지)임을 말해주고 있다. 長子池(장자지)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始祖(시조)의 墓所(묘소)는 全南(전남) 羅州郡(나주군) 南平面(남평면) 德龍山(덕용산) 綾社洞(능사동)에 있었으나 없어졌다. 長子(장자)못가에 있는 長淵書院(장연서원)에서 每年(매년) 陰曆(음력) 9月에 享祀(향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