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아카데미 현장학습-대가야(고령) 탐방
국학아카데미 3번째 현장학습으로 대가야 고령지역을 탐방하였습니다. 2012 제4기 수강생들은 8:30분에 안동시청을 출발하여 대가야박물관 탐방을 시작으로 고령지역을 중심으로한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유물들을 두루 탐방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일 시:2012.10.13 -주요탐방:대가야박물관,대가야왕릉전시관과 지산동고분,죽유오운종택과 매림서원, 백송정, 점필재김종직종택과 개실마을
[대가야박물관] 대가야는 고령을 중심으로 AD 42년 이진아시왕이 건국하여 AD 562년 16대 도설지왕시대 신라에 멸망하기 까지 520년간 철기문화가 발달한 왕국이었습니다. 대가야박물관에는 당시의 역사와 문화가 잘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왕릉전시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대규모 순장무덤인 지산동 44호분의 내부를 원래의 모습대로 재현한 전시관으로 무덤의 구조와 축조방식, 무덤주인공과 순장자들의 매장 모습을 재현해 놓았습니다.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 고령읍 지산리 일대에는 70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으며 44호 고분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순장묘가 발굴되었고 토기와 철기, 말갖춤, 금관과 금동관, 장신구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점필재종택] 점필재(점畢齋) 김종직(金宗直)[1431~1492]선생은 영남학파의 종조(宗祖)로서 성리학의 정착과 후진 양성에 힘쓴 학자 겸 문장가 였다. 종택은 쌍림면 합가리 개실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1800년경에 건립되어 몇 차례 중수하였다고 한다. 해설사에 의하면 개실마을은 도시민들이 전통한옥에서 민박체험장소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죽유오운종택] 죽유 오운(1540~1617) 선생은 조선 중기 학자, 문신이자 의병장이었습니다. 선생은 임진왜란(1592)이 일어나자 곽재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으며 개인문집인 죽유문집과 조선 중기 남인의 역사 인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역사서인 동사찬요를 쓰기도 하였다. 쌍림면 송림리에 위치한 종택(종손 오용원,한국국학진흥원연구원근무)에는 대학장구대전, 양세유묵 등 고전적과 호구단자, 분재기 등 고문서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매림서원] 梅林書院은 오선기(吳善基)와 곽수강(郭壽岡)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유림에서 1707년(숙종33년) 쌍림면 매촌리에 건립하였다. 1868년(고종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이 내려지면서 훼철되어 매림재(梅林齋)로 이어오다 1984년 중수하여 서원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벽송정(碧松亭)과 벽송정유계(碧松亭儒契)] 벽송정은 고령지역의 누정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인 신라시대에 건립된 누정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사적소유물이 아니고 공간적 기능에 대한 정확한 단서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벽송정 유계와 그에 관련한 고문서가 남아 있고 입의(立議), 계안(契案), 기안(忌案) 등 필사본 10종이 있다. 벽송정유계는 500여년간 매년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벽송정에서 취회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가야 탐방 행사를 준비해주신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분들과 안내를 해주신 오용원연구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대가야박물관 한국국학진흥원 오용원연구원님의 현장설명 대가야시대의 집과 창고 안내 대가야시대 집 대가야시대 창고 해설사님의 대가야박물관 설명 가야국들의 지역분포
바위그림 출토된 토기
대가야의 기마상
우륵과 가야금 대가야의 복장 대가야의 연표 고분 올라가는 길
44호 고분(왕릉) 고분에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길
대가야왕릉전시관
전시관내부에서 해설사의 설명 왕릉 내부모습 죽유종택방문(오용원종손 종택설명)
종택안채(백화당은 현종부님께서 쓰신 것으로 백가지를 참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뜻) 유물이 보관되어 있는 운양각
오용원종손님과 함께 풍우루 오용원연구원님의 매림서원 설명
매림서원에서 탐방회원님 일동 벽송정 오용원연구원님의 벽송정 설명
점필재 김종직선생종택
해설사님의 설명
신도비앞에서 개실마을의 민박체험 전통한옥
|
'멋있는 내동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장산 국립공원 백양사 단풍나들이 (오토산/作). (0) | 2012.10.27 |
---|---|
안동 한실마을로 귀향한 김연대 시인(남하오/作). (0) | 2012.10.26 |
풍성한 가을 걷이 (진구/作). (0) | 2012.10.07 |
안동국제탈춤 외국탈춤(남하오/作) (0) | 2012.10.03 |
안동민속축제 시민화합 한마당(남하오/作). (0) | 201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