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보이는 교회당이 정지된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준다.
장 프랑수아 밀레가 그린 명화 '만종(晩鍾)'은
프랑스의 자랑이다. 그러나 이 그림에 얽힌 두가지의 秘話는 우리를 숙연케 한다.
1.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백화점 소유주였던
알프레드 쇼사르가 80만 프랑에 이 작품을 구입해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한 후
한번도 거래된 적이 없었던 '만종'은
값을 매긴다는게 불가능한 보물이다.
그러나 작품이 처음 만들어진 1860년 당시
밀레는 물감을 살 돈조차 없는 가난한 화가에 불과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화상 아르투르 스테반스가
그림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1000프랑을 지원한다.
이 1000프랑으로 탄생한 그림이 바로 '만종'이다.
이렇게 탄생한 만종은
100년 만에 80만 프랑 값어치를 얻었고
그로부터 또 100년이 지난 지금
프랑스의 자존심이자
전 세계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보물이 됐다.
1000프랑을 지원한 것이 국부(國富)를 일구어
낸 것이다.
루브르에 돌아오기 전
'만종'은 미국 아메리카 미술협회에 팔렸다.
프랑스측은 국회와 행정부는 물론 모금활동까지
벌여가며 '만종'이 미국에 팔리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부자나라 미국을 당할 수는 없었다.
프랑스가 자존심이 상한 채 주저앉아 있을 무렵
백화점 재벌 알프레드 쇼사르가 미국에 엄청난 대가를
지불하고 '만종' 을 다시 사들인 것이다.
쇼사르는 이 그림을 개인 자격으로 소유하지 않고
루브르에 기증했다.
예술의 가치를 알아본 쇼사르가 없었다면
'만종'은 지금쯤 미국 어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을 것이다.
2. 그림을 보면, 하루 일을 마치고
농부 부부가 교회종소리를 들으며 기도하는
평화로운 그림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그림에는 슬픈 이야기가 숨어있다.
그림을 보면,농부 부부가 바구니를 밭밑에 놓고 기도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 바구니가 감자씨와
밭일 도구를 담은 바구니로 알고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 바구니에는
씨감자가 들어있던 게 아니라
그들의 사랑하는 아기의 시체가 들어있었다.
그 시대에는 매우 가난하여,배고픔을 참고
겨울을 지낸후, 씨감자를 심는 봄이 오기를 기다리는 실정 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아기는 배고픔을 참지못해
죽은 것이다.
죽은 아기를 위해 마지막으로 부부가
기도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 '만종'이다.
그러면, 왜 그림 속의 아기가 사라졌을까?
앞서 말한 밀레의 친구가 이 그림을 보고 큰 충격과 우려에 빠진 나머지 밀레에게
아기를 넣지 말자고 부탁을 했다.
그래서 밀레는 고심 끝에 아기 대신 감자를 넣어
그려 출품했던 것이다.
그 이후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채
그저 농촌의 평화로움을 담고있는 그림으로
유명해졌다.
그러나 살바도르 달리는 달랐다.
그는 이 그림을 보고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맛보았다.
그 불안감이 얼마나 집요하게 그의 뇌리에 들러붙었는지
달리는 오랫동안 그 까닭을 알아내려 했고,
그에 관한 책을 쓰기까지 했다.
그는 밀레의 <만종>에 그려진 감자자루를
어린아이의 관으로 보고 이루 말할 수 없는
불안을 느꼈던 것이다.
수십 년 후, 이러한 그의 투시력은 환각이 아니라
실제로 정확한 관찰이었음이 밝혀졌다.
루브르 미술관이 자외선 투사작업을 통해
그 감자자루가 초벌그림에서는 실제로
어린아이의 관이었음을 입증한 것이다.
현실 생활에는 서툴렀지만
그럴수록 더욱 더 삶에 대한 투시력을 갖게 되었다는
그의 고백은 참이었던 것이다.